제품 개발과정에서의 모든 Data를 수집하며, 실험 분석 / 결과 조회를 통해 보고서 작성을 지원하고 타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편리하게 연구 경험 및 지식의 디지털화
2. To-Be 변화사항
1) 연구/개발 구조 : 프로젝트 – 서브 프로젝트 – 샘플
- Rule & Policy
: CRM 시스템을 통한 의뢰 방식의 단일화 (CRM 개발의뢰 항목 PLM / ELN 동기화) : 개발의뢰에 대한 검토 피드백 및 보완 과정의 프로세스 시스템으로 반영 : OP ID는 영업기회 ID를 지창 함 : Request ID는 개발 의뢰 ID를 지칭하며 PLM / ELN의 프로젝트 단위가 됨 : 색조, 세트, 마블 제형 등 복제품에 대해 개별로 개발 의뢰 : 의뢰 내용이 변경될 경우 CRM에서 개발 변경 의뢰 진행 : 연구원이 서브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음 : 한 프로젝트에 고객 확정된 Lab No는 1개만 가능 : 한 서브프로젝트에 고객 확정된 Lab No는 1개만 가능 : 발송된 샘플 확정 시 Lab No 확정 처리
※ 참고 단어 (아래 이미지)
OP (Opportunity) : 신규 영업 기회
R (Request) : 신규 영업 기회에 따른 개발 요청 및 요청 변경 사항의 단위 P (Project) : 제형 개발 최상위 프로젝트 SP (Sub Project) : 제형 개발 하위 프로젝트 W (Work Breakdown Structure) : 프로젝트 표준 업무 프로세스 F (Formula) : 처방
2) 연구/개발 조직체계 (역할별 To-Be 주요업무)
- 파트장/팀장님은 개발의뢰 사항을 검토 및 확정 후, PL을 지정하는 역할 수행
이를 위해 PLM에서 팀 내 수행 프로젝트 현황, 팀원의 업무 수행 현황 확인가능
- PL은 프로젝트의 Ownership을 갖고, 프로젝트 수행 및 진척, 산출물 관리 업무 진행
- 연구원은 전자연구노트에 접속 후 개발-처방, 분석/시험 결과 등록 등의 업무 수행
3. To-Be 기대효과
1) PLM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
- 표준 업무 프로세스(WBS)는 R&D활동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써,
업무의 효율은 물론 프로젝트 수행의 이력, 참조, 산출물 재활용 및 자원 활동의 기준 제공
- 의뢰 방식의 단일화 (시스템 측면)
- 개발의뢰 항목의 현실화 - 입력과정의 편리성 향상으로, 빠른 프로세스 장착 유도 - 개발의뢰에 대한 검토 피드백 및 보완 과정을 프로세스로 정의하는 시스템 구축
- Template 기반의 프로젝트 계획 작성 - 수정 및 변경 요청 시, 버전관리를 통한 변경 이력 관리 체계 운영
- 프로젝트 기반 필수 산출물 관리 - 프로젝트의 WBS와 산출물과의 연계로 구체적인 자료 검색 가능 - Package 산출물 관리로 관련 산출물에 대한 표준화 관리
- PLM에서 문서 작성 후 Workflow 수행 - PDF Viewer를 통한 전자결재 업무 편의성 제공 - 최종 결재 완료 시 Release 됨 → 자동 관리
2) ELN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
- 프로젝트 별 체계화된 연구노트 구조 및 내용 Template을 기본으로 하고, 필요한 데이터는 언제든지 추가하여 제품 개발과정에서의 모든 Data를 수집하여 연구 기록 자산화
- 과거의 배합비 정보들을 활용하여 손쉽게 신규 배합비를 작성하고 시스템에 등록된 원료 정보를 활용하여 단가, 세부원료, 알러지 정보 등을 배합 작성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, 작성된 배합비는 연구 자산 보관 및 활용
- 개인별로 관리하던 원재료 및 프로젝트 정보를 시스템에 통합 관리하여, 원료 및 제품을 손쉽게 검색 가능, 이를 통해 원료 탐색 시간 및 신규원료 등록 프로세스 등의 부가 업무를 제거하고 신속하게 배합비 개발
- 프로젝트와 Lab No. 연계 및 실험 데이터 Digital 자산화 - 샘플 확정 시 CRM으로 Lab No. I/F - Lab No. Master 생성 요청 및 Lab No. 마스터 생성 후 ERP I/F
- Digital 의뢰 요청 - WBS 연계로 업무에 대한 명확한 인식 - 산출물에 대한 Digital 관리 및 메일 송부